의료 & 건강정보

[건강검진] 골다공증에 대하여

작성자
에스제이코어
작성일
2021-07-27 15:48
조회
1334
● 골다공증의 정의
-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골격계 질환입니다.
뼈는 성장이 멈추는 조직이 아니라 일생 동안 지속적으로 생성과 성장, 흡수의 과정을 반복하며 변하는 장기입니다. 1년마다 10%의 뼈가 교체되고 10년이 지나면 우리 몸의 뼈는 모두 새로운 뼈로 교체됩니다. 20대에서 30대까지 골밀도가 가장 높고 그 이후로는 조금씩 감소하게 됩니다.
※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 이후에 급격한 골밀도 감소가 발생합니다. 폐경에 의한 여성 호르몬 감소는 급격한 뻐의 감소를 초래하게 됩니다.

● 골다공증의 예방 방법
1) 체중 부하 운동
체중 부하 운동으로 골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. 골세포의 재형성에는 물리적 자극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 체중 부하 운동의 예로는 줄넘기와 제자리 뛰기 같은 점프 운동 등이 있습니다.
2) 칼슘 섭취
칼슘이 뼈의 재료라는 건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. 당연히 칼슘의 섭취는 뼈의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. 매일 800~1000mg 정도의 칼슘 섭취를 권장합니다.
3) 비타민 D 보충
비타민D는 칼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. 비타민D의 보충은 식사로 가능하지만 체내 흡수율이 제한적입니다.
4)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
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소변으로 체내의 소금, 칼슘이 같이 빠져나갑니다.

●밀도(골다공증) 검사 방법, 정상수치
- 검사 종류
1)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 (DXA) - 대표적인 방법
2) 정량적 초음파 검사 (QUS)
3)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 (QCT)
4) 말 단골 정량적 컴퓨터 단층촬영
- 정상수치 (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)
검사 결과(T-score) 결과 구분
-1.0 이상 정상
-1.0 ~ -2.5 골감소증
-2.5 이하 골다공증
※ T-score란 같은 성별 젊은 성인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수치화 한 것입니다.